세계 여러나라 마다 그 나라 고유의 민속춤이 있다.
특정한 사람에 의해 안무되는 무용이 아니기에 기록방법이 없다.
특정인에 의하여 공연되거나 관중을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니다.
향토색이 짙은 민족 의상을 입는다는 특징이 있기에 민중의 생활에 더욱 밀착된 춤이다.
- 레바논 민속무용
민족무용이 특정 민족의 예술무용(여러 궁정무용도 포함)과 민속무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것과 차별화 된다.
본래 농민의 춤이었던 미뉴에트
같은 춤도 그것이 궁정문화에 채택되어 사교화(社交化)한 것은 민속무용이라 부르지 않으며,
반대로 이탈리아
의
타란텔라와 같이 궁정무용이었던 것이 민중생활에 융합된 것은 민속무용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유럽에 전해진 민속무용도 특수한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 150년 정도의 역사를 가졌을 뿐이다.
폴란드 민속무용
고대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
선사시대 무용의 흔적은 스페인과 프랑스 등지의 동굴 회화에 남아 있을 뿐이다.
이집트에서 제사장과 왕을 겸한 인물이 제의무용을 추었고, 무용에 관한 가장 오래된 문서 기록이 발견되었다.
이집트의 다양하고 세련된 무용은 크레타를 거쳐 그리스로 전해졌는데,
그리스 신 디오니소스 숭배의식 때 광란적이고 발랄한 춤을 추었다. 이 숭배의식은 그리스 연극을 낳았으며 ,
의식을 행하는 중에 무용수는 제사장의 말을 춤과 몸짓으로 표현했다.

이스라엘의 춤
구약성서는 무용을 즐거운 행사로 언급하고 그리스도교 절기에 제례무용들이 행해졌다.
결혼식은 의식무용이 행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BC 150년경 금욕주의적인 태도의 고대 로마에서 무용학교 폐쇄령을 내렸지만 무용에 대한 열광을 멈출 수는 없었다

서유럽 사회는 12세기에 이르러 성직자·귀족·농민의 3계급으로 분화되면서 사교무용이 발달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세속적인 즐거움과 인체의 아름다움에 탐닉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기념식과 축제가 늘어났다.
중세의 마술사들이 귀족계급을 상대로 무용의 스텝, 자세·태도·예절까지 가르치는 역할을 맡았다.

집시춤
1416년 유럽 최초의 무용교본인 〈무용과 합창단 지휘법에 관하여 De arte saltandi et choreas ducendi〉가 출판.
프랑스에서 스페인의 무어족이 추던 춤을 '모리스카' 로 개작한 합창무용을 추었고 합창무용에서 발레가 생겨났다.
16세기초 영국 튜더 왕조의 가면무는 단순히 가면을 쓰고 추는 춤에 노래와 연설, 팬터마임을 결합시킨 다양한 춤을 추었다.

발레
16세기말 엘리자베스 1세는 무용을 장려했다. 그녀는 가야르와 볼타를 능숙하게 추었으며,
런던 도처에서 무용학교가 번창했고 이는 궁정무용 을 발전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스페인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문예부흥을 맞은 스페인도 무용이 매우 발달했는데, 사라방드·샤콘·판당고·플라멩코 등이 인기가 있었다.

스페인 플라맹고
17~19세기
루이 14, 15세에 프랑스는 서유럽의 로코코 예술시대를 선도했는데 무용의 시대이기도 했다.
1661년 루이 14세는 왕립 무용 아카데미를 창설했다. 무용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들의 영역이 되었고 논문과 교본, 분석서들이 발간되었다.
1700년 이후로 발레는 공연무용으로 바뀌면서 춤과 마임만으로 줄거리를 표현하는 데 주력하게 되었다.
1650~1750년은 '미뉴에트의 시대'라 불린다. 베르사유 궁전에서 열리는 무도회에서 브랑르와 쿠랑트, 가보트를 망라하는 일련의 춤 가운데서 으뜸을 차지했다.
잉글랜드에서는 17세기 청교도들은 무용을 인간의 사악한 행위로 낙인찍으려 했지만 출판업자인 존 플레이포드〈잉글랜드 무용교본 The English Dancing Master〉(1650)을 출판했다. 잉글랜드의 전통적인 춤과 춤곡을 집대성한 것으로 사람들은 궁정예절 따위에 매이지 않고도 춤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 루마니아 민속무용
1700년경 잉글랜드 컨트리 댄스는 스페인과 독일, 폴란드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이것들은 신흥 중산계급의 춤으로 자리잡았다.
잉글랜드 무용교본〉은 아메리카에도 알려졌다. 잉글랜드 출신의 아메리카 식민지 개척자들은 잔치를 벌이고 사교춤을 추었다.

---불가리아 민속무용
낭만주의 시대에 왈츠시대가 도래했다.
남부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유행했는데 빈은 왈츠의 도시로 알려졌다. 왈츠 열광은 급속하게 국경을 넘어 전파되었다.
1840년경에는 보헤미아 무용인 폴카가 등장했다.
1860년대초 러시아에는 독자적인 표현 기법을 개발해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용단이 공연한 〈잠자는 숲속의 미녀〉(1890)·〈호두까기 인형〉(1892)·〈백조의 호수〉(1895) 등이었다. 이 작품들은 차이코프스키가 작곡을 맡았다.

19세기에는 파리에서 여성 전용의 캉캉이 열화 같은 인기를 끌었다.

-프랑스 '캉캉'
미국에서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연희가 발달했는데, 흑인 문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탭댄스·소프트슈·벅앤드윙 등 경쾌한 춤이 유행했다.
서부에 대중적인 무도장이 늘어났는데 이곳에서 반 댄스와 케이크워크처럼 심하게 몸을 비트는 미국식 춤이 최초로 등장했다.


19세기에는 여행이 사상 유례없이 늘어나고 서로 다른 문화권 사이의 접촉이 잦았다.
이로서 무용언어는 지리나 언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국제적인 의사전달의 매체가 되었다.
20세기
20세기는 활기찬 무용의 시대였는데 여성이 새로운 형식의 개척자로 전면에 나섰다.
그들은 내면적인 충동에 따라 자기를 표현하는 무용을 옹호했다.
즉 '현대무용'의 선구자는 미국의 이사도라 덩컨(1877~1927)과
루스 세인트 데니스(1877~1968), 독일의 루돌프 라반(1879~1958) 등이다.

라디오와 전축이 등장하면서 사교무용이 보급되자 순수한 민속무용을 추는 지역은 점차 줄어들었다.

브라질 '삼바'

하와이 '훌라'
제2차 세계대 전 후의 사교무용은 지속적인 활력과 열광을 특징으로 한다. 영화와 텔레비전은 트위스트 같은 로큰롤 춤들을 보급하는 데 기여했다.
1970년대에 디스코가 등장하면서 허슬과 범프같이 파트너와 함께 정해진 스텝에 따라 추는 춤이 살아났다.
1980년대에는 브레이크 댄싱이라는 곡예적인 춤양식이 등장했는데 이는 몸을 복잡하게 비트는 것이라든가 마임과 같은 걷는 동작,
목과 어깨에 의지해 빠르게 회전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20세기초부터 무용활동은 다면적이고 화려한 면모를 보였다. 사회적 활동 가운데 무용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의 많은 대학에서 무용학부가 개설되고 소련에 무용연구소들이 창설된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동남아시아 무용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가 아시아 퍼져 이들 종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독자적인 무용의 특성을 이루었다.

-인도
스리랑카는 힌두교의 영향을 받은 칸디아 무용으로 유명하다. 칸디아 무용은 찬디펠라헬라,
부처의 치아를 가지고 도시를 순회 전시하는 행렬의 필수요소가 되었다. .
에
서 '요쿠테 푸에'는 서민의 제전에 따르는 춤으로서 가두에서 연출된다.
캄보디아·타이에서는인도와 중국의 영향을 받은 민속무용과 사교무용이 함께 발전해 3국에 공통된 무용 형식을 세웠다.

타일랜드

터키
특히
의무용은 팔·손목·손가락의 섬세한 움직임과 관절을 중심으로 한 인형과도 같은 동작이 조화를 이루어 신비한 느낌을 준다.

인도네시아
필리핀에는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인데다가 아시아에서 유일한 그리스도교국인 만큼 민속무용의 대부분은 서양적인 색채가 짙다.
의
무용은 티베트 불교 의식, 행사의 일부로 인식하기에 주제도 완전히 종교적인 것뿐이다.
한국의 민속무용은
주로 농업·어업 등 생업에 관련되어 그 풍요를 기원하는 놀이로 발달한 것, 무속(巫俗)과 민간신앙에서 비롯된 것,
각 고장의 전설과 어느 특정 사실에서 비롯된 것, 단순히 오락적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승무, 살풀이, 화관무, 부체춤, 한량무, 강강술래,농악, 무동춤, 무당춤,장고춤 ,소고춤,쾌지나칭칭나네 등은 한국 고유의 민속무용이다.
벨리댄스
밸리댄스는 그리스, 이집트, 터키 등에서 종교적으로 행해지던 춤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지역의 영향을 받았다. 20세기초 시카고 무용박람회를 통해 미국에 알려 졌으며
이때 프랑스식의 danse du ventre가 밸리 댄스로 번역되었다.
밸리 댄스를 다른 춤들과 다르게 인식하는 몇 가지 특징들이 있다:
1. 벨리댄스의 기원은 고대의 풍요제이다.
이집트의 결혼식에 밸리 댄서를 초청하고 신랑과 신부가 밸리 댄서의 배 위에 그들의 손을 얹고 사진을 찍는 것이 관습으로 남아있다.
이 풍습으로 고대 풍요제와 관련이 있다는것을 알 수있다.
무용학자이며 춤꾼인 모로코(Morocco)는 베르베르 부족의 탄생 축제에 참가했다.
여자들이 텐트에 모여 구멍을 파고 그곳에 산모를 앉혔다.
산모가 아이를 낳는 동안 여자들은 원을 만들어 반복적인 배 운동을 계속하면서 춤을 추었다.
또한 라마스 무통분만법이 밸리 댄스와 동일한 움직임을 가르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여성들에 의해 신성시되었던 밸리 댄스는 모성, 생명의 신비스런 고통과 기쁨을 의미한다.
2. 전통적으로 밸리 댄스는 맨발로 추는 춤이다.
3. 밸리 댄스는 동방 음악의 전통에서 발전 되었다.
4. 댄서들은 춤의 한 부속물로서 일종의 리듬 악기를 사용하곤 한다.
밸리 댄스는 종교적인 영역에서 시작되어서 구경꺼리 또는 놀이로서의 춤으로 변화해 간 것이다.
'인형의 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배추인형 스토리 (0) | 2013.04.30 |
---|---|
396회 조선인형이 날아갔다 (0) | 2013.02.26 |
blue boy (1) | 2013.02.12 |
타샤의 미니북 (0) | 2013.01.13 |
387회 세계의 혼례식 인형 (0) | 201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