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 대학교에서 미술사를 가르치는 정 헌이 교수는 학교와 이웃한 장수마을의 낙후된 주거환경에 '예술'을 입히고 싶어한다.
그동안 관공서 들락거리며 기획안을 들이밀었지만 성과가 없었다.
그 과정에서 마을 사람들과 안면을 트게 되었는데 장수마을 평상잔치에 초대 받았다 해서 나도 동행을 했다.
시청 담당직원, 동 직원들도 발걸음을 했다.
할매들이 국수 삶고 돼지고기 수육에 부추전 부치고 ...장만한 음식을 돗자리에 펼쳐 놨다.
마을 사람들이 오며가며 국수 한 그릇 나누며 정담을 나눴다.
동장님도 오시고 구의원님도 오셔서 서로 통성명을 하는데
정교수가 유승희 최고 의원을 보고 깜짝 반겼다.
"내 친구가 국회의원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
국수 먹다가 35년만에 대학 동창을 만난 것이다.
언제 어디서 어떤 인연을 만날지 사람 일은 모르는 거다.
낙산 공원 성벽 아래 첫 동네 그곳에서 타향살이 설움을 함께 나누던 할매들의 추억의 사진이 걸렸다.
.
귀밑머리 올리고 혼례를 치루던 스무살 꽃다운 청춘은 어디로 가고 눈 어둡고 허리 굽은 할매들이 되었다
잔치에 노래가 빠지면 쓰나. 흥타령에 어깨가 들썩들썩 .
각지에서 상경한 타성받이들이 이웃하고 살아온 세월이 오래지만 그들도 자기 골목 사람들끼리만 어울린다 했다.
골목마다 분위기가 인심이 다르다 했다.
나는 좁은 골목에 깔아놓은 비닐 돗자리에 앉아서 청소년기를 보냈던 만리동 골목을 추억했다.
'일상 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06호 방정환 문학 읽기 첫 돌 (0) | 2015.10.22 |
---|---|
704호 2015 파주 북소리 (0) | 2015.10.11 |
673호 장수마을 (0) | 2015.07.05 |
672호 식소다의 놀라운 효능 (0) | 2015.07.01 |
671호 수집을 하다 보면 (0) | 201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