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정숙이는 사별을 한뒤 분당 집을 정리해서 양평 집으로 들어갔다.
그녀가 <동화나라 인형의집>으로 사용할 만한 카페가 있다기에 양평나들이를 계획했다.
마침 양평으로 작업실을 옮긴 바느질쟁이 김혜환이 예술의전당 <훈데르트바서 전시>를 보러 온다기에 합류했다.
김혜환의 바느질 제자들과 전시 관람후 함께 양평으로 움직이기로 했다.
이날 마지막 전시라 관람객이 아주 많았다.
훈데르트바서는 (1928-2000)는 오스트리아 화가다.
색체의 마법사, 건축 치료사, 환경운동가로도 알려져있다.
그는 “평화롭고 풍요로운 곳에 흐르는 백 개의 강”이라는 뜻을 지닌 이름을 스스로 지었다.
인간이 만들어낸 인위적인 아름다움보다 자연과 의 조화를 중요시 했다.
뿐만 아니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흙,과식물 등을 섞어서 안료를 만들어썼다.
건축디자인에서 그의 자연주의 성향은 더욱 잘 드러난다. 지붕위에 잔디를 덮고,
기존 환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리모델링된 집들은 독특하고 개성적인 상상력을 키워준다.
스페인에 가우디 가 있다면 오스트리아에 훈데르트 바서 가 있다.
''''''''''''''''''''''''''''''''''''''''''''''''''''''''''''''''''''''''''''''''''''''''전시장의 사진촬영이 금지되어 김치군의 사진을 빌렸다.
1993년 훈데르트바서는 오스트리아의 작은 마을 전체를 리모델링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눈 구멍 집(eye-slit house), 숲의 마당 집(forest-courtyard house), 롤링 힐(rolling-hills), 움직이는 언덕 집(shifted-hills house)과
훈데르트바서의 다양한 건축 콘셉트가 이곳에서 처음으로 시도됐다.
블루마우 온천마을
건물의 지붕은 완만한 곡선 형태로 한 건물의 지붕이 다른 건물의 마당이 되는 식이다.
가까이 보면 각기 다른 건물들이지만 멀리서 보면 자연과 건물이 하나로 보인다.
블루마우 온천마을의 동화 같은 풍경은 영화 ‘반지의 제왕’ 속 ‘호빗 마을’로 등장하면서 전 세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훈데르트바서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낭만적이고 자유로운 건축물에 대한 사람들의 희망을 현실로 만들어냈다.
드넓은 구릉이 펼쳐진 곳에 외벽이 알록달혹한 건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쓰레기 소각장의 변신
실제 그의 삶 역시 인간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생각과 일치했다.
그는 관 없이수의에 쌓인 채 자신이 좋아했던 나무 아래 묻혔고, 그 나무는 훈데르트바서의 또 다른 육신이 되어 그의 철학을 상징한다.
일본 목판화를 부흥시킨 그의 목판화는 아동화 같이 자유분방하다
.실크 스크린의 판화는 조명에 따라 색체가 빛나고 현란하다.
하지만 작품보다 눈길을 끄는건 복잡한 사인이다.
도슨트의 설명에 의하면 물감의 색상에 대한 장세한 언급, 날짜 ,일본 이름의 낙관, 심지어 소장자의 이름까지 적혔단다.
자유로운 정신의 소유자인 그는 거꾸로 생각하는것과 도전하기를 즐겼다.
옷 모자 신발들을 직접 디자인해서 입고 다녔는데 양말은 짝짝이로 신고 다녔단다.
보그지에 소개가 될 정도로 패션감각이 독특했다고 한다.
탈모 때문에 모자를 쓰게 되었지만 모자를 왕관과 같다고 했을 정도로 메니아가 되었단다.
패션에 대한 감각과 자연주의 생각은 나도 공감이지만,<직선은 인류를 파멸로 이끈다>같은 생각엔 이견이 있다.
양평댁들과 중앙선을 타고 이동 중에 그림자놀이
오일장이 열리는 양평시장에 김혜환의 작업실이 있다.
나무꾼이 꺽어다 줬다는 철죽가지에서 몽오리가 터지기 시작했다.
좁은 공간에 아기자기 놓인 엔틱 소품들.
옷을 좋아하는 그녀9옷을 고를 때 최고의 희열을 느낀단다)가
그동안 수집해 놓은 빈티지 옷 매대가 한켠에 자리잡았기에 몇가지 보물을 골라왔다.
그의 제자들과 바느질 수업을 하는사이
나는 친구 정숙이를 따라 당너머 카페로 갔다.
진입로에 축사가 있는데다 주변에 난삽하게 지어진 전원주택들이 거슬린다.
정숙이가 좋은 땅을 알아보기로 하고
다시 김헤환의 작업실로 왔다.
그녀들이 자주 드나드는 골동품상을 탐색하기로 했다.
햇댓보 속에서 삼베 생지를 발견한 바느질 쟁이
서양화가 신 선생이 고른 반짇고리를 주인장이 아까워서 안 팔겠단다.
버들고리 안에 유리를 붙여만든 경대와 무명 세수수건.
옛물건을 보면 어린시절로 되돌아온듯 신명이 나지만.
우리집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아 눈요기만 하고 왔다.
김혜환이 느릿느릿 말했다.
" 바늘에 손가락을 찔리면 아프잖아요. 찌른것은 난데 찔렸다고 생각하고 남 탓을 하잖아요.
모든 문제는 나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어제밤 나는 쉬이 잠들지 못했다.
가회동이나 북촌 골목안에 있어야 어울릴 꽃빛 바느질 작업실이 청평 시장바닥에 있는것이,
돼지목에 진주목걸이격으로 그녀가 만든 작품의 진가를 알아주지 못하는 사람들 속에
그녀 홀로두고 온 것이 마음 쓰이고 마뜩찮아서였다.
'일상 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맞이 (0) | 2011.03.20 |
---|---|
134호 그 어디에도 머물지 말고 보시하라 (0) | 2011.03.16 |
봄소식 (0) | 2011.03.14 |
131호 둘이 하나가 되어 산다는 것 (0) | 2011.03.07 |
130호 청춘아 내 청춘아 (0) | 201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