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다시 오지 않는다

동화작가 김향이의 블로그 세상

문득 돌아보니 한 순간

동화, 강연

324호 신간 안내 연오랑과 세오녀

멀리 가는 향기 2012. 8. 18. 09:03

 

                                                                                                       계룡문고 사진 제공

 

연오랑과 세오녀

 

달님은 알지요』의 작가 김향이의 서정적인 글과
국제 노마 콩쿠르 수상 작가 박철민의 신비로운 그림으로 만나는
신라의 해와 달,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 이야기

개성 있는 그림과 재미난 글로 완성도 있는 그림책을 선보여 온「비룡소 전래동화」시리즈 스물두 번째 책『연오랑과 세오녀』가 (주)비룡소에서 출간되었다.

『연오랑과 세오녀』는 『삼국유사』에 실려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일월신화를 문학적 상상력과 아름다운 그림으로 담아낸 그림책이다.

 신라 제8대 아달라왕 때 동해 바닷가에 살았던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바위에 실려 일본으로 간 후,

신라의 해와 달이 사라졌으나 세오녀가 짠 황금 비단을 가져와 하늘에 제사를 지내니 다시 해와 달이 나타났다는 신비로운 이야기이다.

 

김향이 작가는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가 주거니 받거니 흘러가는 구성에 애절한 노래를 곁들여 부부의 사랑과 신화적 운명을 아름답게 그려냈다.

박철민 작가는 동양화 재료인 장지에 먹과 수채 물감, 캐러멜을 사용하여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장면들을 연출해 이야기의 감동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다.
세오녀가 짠 황금 비단으로 제사를 지낸 곳은 지금의 포항 지역으로, 해마다 포항에서는 ‘연오랑과 세오녀 추모제’를 열어 신화 속 주인공을 기리고,

우리 역사를 소중하게 간직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아름다운 그림책으로 담아낸 신라의 해와 달, 연오랑과 세오녀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은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이에 영향을 주는 해와 달을 소중히 여기고 받들었다.

그래서 해와 달에 관한 옛이야기나 신화들이 많이 전해져 왔다.

『연오랑과 세오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일월 신화로, 특히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거의 유일한 일월 신화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를 통해 당시 왕이 없었던 일본의 상황이나 우리의 우수한 기술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된 배경 등

다양한 역사적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 자산이다.

 

김향이 작가는 특유의 문학적 상상력으로 연오랑과 세오녀의 애틋한 사랑과 운명을 아름답고 극적으로 풀어냈다.

두 주인공의 이야기가 주거니 받거니 영화처럼 흘러가는 구성과 다시는 볼 수 없을지 모르는 임을 향해 부르는 애절한 노래가 읽는 재미를 주며, 마음을 울린다.

 

 

"연오랑, 연오랑!"

목이 터져라 불러봐도 돌아오는건 갈매기 울음소리 뿐이었어.

세오녀는 미친듯이 바닷가를 해맸지.

 

   어디로 가면 임을 만날까나

   임 게신 곳 알면 어딘들 못 찾아갈까

   두리둥실 높이 솟은 저 달은

   우리 임 게신 곳을 비춰나 주지.


                                                                바위는 바람을 타고 빠르게 흘러갔어.

                                                                연오랑은 무엇보다 아내가 걱정되어

                                                                바위를 치며 울음을 터트렸어

 

                                                                              가네가네 나는 가네

                                                                              당신을 두고 나는가네

                                                                              원수같은 바람에 부부 이별 웬말인가

                                                                              갈매기야 널랑은 부디 날아가서

                                                                              이내 몸 떠나가도 마음만은 두고 간다 전해다오


이야기와 어우러진 신비롭고 환상적인 그림
색색의 꽃잎이 흩날리는 환상적인 그림은 신화적인 이야기와 잘 어우러져 감동을 전한다.

박철민 작가는 동양화 재료인 장지에 먹과 수채 물감, 캐러멜을 사용하여 작업했다.

각 장면의 인물들은 동양화 필선으로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풍경이나 자연물들은 캐러멜을 이용하여 신비스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냈다.

근경과 원경을 넘나드는 다양한 구도와 경계를 흐리고 스며들듯 겹쳐 그린 그림들이 아련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하다.

사실적인 장면들과 상징적이고 비현실적인 장면들이 자연스럽게 엮어져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게 한다

'동화, 강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9호 교장 선생님 전하  (0) 2012.09.11
328호 연오랑과 세오녀 책걸이  (0) 2012.08.29
320호 꾸러기 강아지 단추와 뭉치  (0) 2012.08.10
318호 황금펜 아동문학상  (0) 2012.08.02
315호 특강  (0) 2012.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