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다시 오지 않는다

동화작가 김향이의 블로그 세상

문득 돌아보니 한 순간

동화, 강연

147호 서정주선생 고택

멀리 가는 향기 2011. 4. 15. 19:08

                                                                      

 

사당역에서 남현동 방향으로 걷다보면 옛 벨기에 대사관 건물이 보인다.

 

 

지금은 시립미술관 분관이 되었다. 사당 쪽에 볼일이 있으면 가끔 발길 돌리는곳.

 

                                                                            

                                                            3년 만에 찾은 사당 초등학교 방송실에서 강연을 하고 사인을 하는데 , 

                                                                         삼년전에 사인을 받았다며 좋아라 하는 아이들을 만났다.

 

   사당초등 담장 너머 미당이 말년을 보낸 집이 있다.

3년전에는 대문을 쇠사슬로 묶어 놓아 나무가 우거지고 잡풀이 무성했는데,

선생님 사후 10년만에 수리를 마치고 이달 초 문을 열었다 해서 들렀다.

 

 

                                                                            현진건의 고택과 박목월의 고택이 잇달아 헐리자

                                                        서울시는 예술인들의 자취가 서린 건축물들을 적극적으로 보존하겠다고 밝혔다.

                                                                그 여파로  미당의 봉산 산방도 복원을 위해 매입했다고 들었다.

 

                                                                 2층 양옥인 봉산산방은 1970년부터 2000년 사망할 때까지

                                                                미당이 시를 썼던 창작의 산실이자  한국문단의 사랑방이었다.

                                                                 그럼에도 미당 고택의 복원이 이처럼 방치된 데에는

                                                                 그의 친일 전력에 대한 비판 여론도 작용하고

                                                                 지난 10년간 정권이 미당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것도 한몫 했다.

 

 

                                                           담장 너머 사당 초등학교 건물이 보인다.

                                                          

 

                                                    평소에 이층 서재에 기거 하셨는데 

                                          사모님 병환중에 거동이 불편해지자 안방을 사용하셨다.

패션감각이  남달랐던  선생은 넥타이 모자 지팡이로  멋쟁이 시인의 풍모를 과시했다고.

 

미당은 아내의 임종을 보고나서 곡기를 끊었다.

그리고 서둘러 아내 곁을 따라갔다. 흰눈 내리던 성탄 전야에

 

 

 

                                             손님이 오셨을 때 종을 치거나 뿔나팔을 불어 

                                             부인께 술상을 부탁했다는 일화가 있는 스위스 산 뿔나팔.

미당은 끊임없이 노력하는 시인이었다.

일흔이 넘어서 러시아어를 독학하고 기억력 감퇴를 막기 위해,

아침마다 세계의 명산 1625개를 암송 했다.

 

 

그의 방대한 유품은 고향의 <미당 시문학관>에 있고 

 이곳에는 동국대에서 소장하던 유품 중 60여점만 옮겨왔다.

 

 

                                                          선생의 호 미당은 '아직 덜 된 사람"이라는 뜻과 '영원히 소년이려는 마음'이 담겨있어

                                                          늘 새로운것을 추구한 선생의 삶과 닮았다.

 

                                                                           우리들의 무슨 설움

                                                   무슨 기쁨 때문에 강물은 또 풀리는가

                                                   기러기 같이

                                                   서리묻은 섣달의 기러기 같이

                                                   하늘의 얼음장 가슴으로 깨치며

                                                   내 한 평생 울고가려 했더니

                                                   무어라 강물은 다시 풀리어

                                                  이 햇빛 이 물결을 내게 주는가

                                                         ....................................<풀리는 한강가에서> 중

 

 

 

 

 파주 한가람 초등학교는 경의선 운정역 근방에 세운 신생학교다.

                                                학생의 절반이 장기 임대주택에 살기에 학부모간에 알력이 있다고 한다.

                                   다행히도 교장 선생님은 독서논술으르 통한 사고력 신장을 교육의 모토로 삼는 분이었다.

 

다양한 독후 활동을 하고  학교 예산의 상당부분을 도서 지원에 쓰신다 했다. 

교무부장 선생님의 말씀은 빈말이 아니었다.

오늘 강연도 파주교육청  지원 사업에서 탈락 되자 작가에게 직접 강연요청 하라는 지시로 이루어졌다.

 

 

                                         교직원들이 애쓴 보람을 시청각실을 가득 메운 아이들과 학부모의 집중력에서 느낄 수 있었다.

                                  자기가 읽은 책의 저자를 만난다는 설렘으로 아이들은 질문지를 작성하고 감상문을 썼다.

                                                   그리고 시간이 짧아 발표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 했다.

 

 

 

                                                    구미 도서관에서 사인을 받은 적 있다는 이 아이는 두번째 만남을 자랑스러워 했다.

                                          방송으로 경청하던 2학년 아이들이  직접 만나고 싶다고 달려와 악수를 하고 갔다.

                                                            

                                            나는 교장실에 앉아서 사인을 받지 못한 아이들을 위해

                                            160여장의 '나머지 사인'을 하고 왔지만  허리를 껴안고 발을 동동 구르던 아이들 때문에

                                            힘든 줄도 몰랐다.

 

                                            작가와의 만남을 구색 갖추기로  치르는 학교도 많다. 

                                           평소에  교육 역점 사업으로 실행하는 학교를 만나면 정말로 감사하다.

                                          

                                            CF  카피처럼  '모두가 교장 선생님 덕입니다.'

                                                               

 

 

 

                                                         

'동화, 강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웅담 초등학교  (0) 2011.04.21
148호 아무리 바빠도  (0) 2011.04.20
DMZ 군내초등학교  (0) 2011.04.13
116회 다시돈독 선생님  (0) 2011.01.12
향기통신 113 호 2010 비룡소 송년파티  (0) 2010.12.25